타나크(Tanakh)는 유대교의 경전으로, 기독교의 구약성경(Old Testament)과 유사하지만 구성과 배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히브리어 성경(Hebrew Bible)이라고도 불리며, 히브리어로 기록된 유대교의 정경입니다. "타나크"라는 명칭은 히브리어로 구성된 세 부분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들어졌습니다:
토라(Torah, תּוֹרָה) – 율법서"토라"는 '가르침'이나 '법'이라는 뜻을 가지며, 모세오경(Pentateuch)이라 불리는 다섯 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창세기(베레시트, Bereishit)
출애굽기(쉐모트, Shemot)
레위기(바이크라, Vayikra)
민수기(브미드바르, Bemidbar)
신명기(드바림, Devarim)
이 부분은 유대교 율법과 계명의 기초가 되며, 유대인의 종교적, 윤리적 삶의 기반입니다.
느비임(Nevi'im, נְבִיאִים) – 예언서"느비임"은 '예언자들'이라는 뜻이며, 유대 역사를 통해 활동한 예언자들의 말씀과 활동을 기록한 책들입니다.
전기 예언서(역사서): 여호수아, 사사기, 사무엘상·하, 열왕기상·하
후기 예언서: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
소예언서(열두 예언서): 호세아, 요엘, 아모스, 오바댜, 요나, 미가, 나훔, 하박국, 스바냐, 학개, 스가랴, 말라기
케투빔(Ketuvim, כְּתוּבִים) – 성문서"케투빔"은 '글들' 또는 '성문서'라는 뜻으로, 다양한 장르의 문학 작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시, 지혜문학, 역사서 등으로 구성됩니다.
시가서: 시편, 잠언, 욥기
다섯 두루마리(메길롯): 아가, 룻기, 예레미야 애가, 전도서, 에스더
기타 성문서: 다니엘, 에스라-느헤미야, 역대기상·하
타나크와 기독교 구약성경의 차이점
구성 순서와 분류타나크는 율법서, 예언서, 성문서의 순서로 배열되지만, 기독교 구약성경은 율법서, 역사서, 시가서, 예언서의 순서로 배열됩니다.
권수의 차이타나크와 기독교 구약성경은 내용은 거의 동일하지만, 책의 구분 방법에 따라 권수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무엘상·하는 타나크에서는 한 권으로 취급되지만, 기독교 성경에서는 두 권으로 나누어집니다.
정경의 범위가톨릭과 정교회는 타나크에 포함되지 않은 외경(Deuterocanonical books)을 추가하지만, 유대교와 대부분의 개신교는 타나크의 범위만을 구약성경으로 인정합니다.
타나크의 특징과 중요성
언어: 대부분 히브리어로 기록되었으며, 일부(특히 다니엘서의 일부와 에스라서)는 아람어로 기록되었습니다.
종교적 권위: 유대교에서 타나크는 절대적인 권위를 지닌 경전으로, 모든 율법과 전통의 기초가 됩니다.
역사적 기록: 타나크는 유대 민족의 역사, 문화, 종교적 발전을 기록한 중요한 문헌입니다.
타나크는 단순한 종교 서적을 넘어 유대인의 정체성과 신앙, 역사와 문화를 담은 책으로, 전 세계적으로도 문화적·종교적 영향력이 큰 경전입니다.